국내 대표 통신사 3사(LG U+, SKT, KT)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는 최소 5만 원대이다.
(군인, 장애인, 특별 이벤트 조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가입할 수 있는 요금제 중 저렴한 가격 기준)
가족 결합할인, 제휴카드 할인 등등 온갖 할인을 다 갖다 때려도 4만 원은 넘었던 것 같다.
아래는 비슷한 가격대를 기준으로 통신 3사의 요금제를 각각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캡처 해온 것이니 참고하시길
(2021-09-01 기준으로 캡처)
*위의 요금제들은 모두 각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가입할 경우 적용됨.
알뜰폰 통신업체가 생기고 엄청나게 저렴한 알뜰요금제가 생겼지만
왠지 모르게 인터넷 속도가 느릴 것 같고
난생처음 들어보는 통신사라서 신뢰가 가질 않았기에 관심조차 안 가다가.
점점 통신 3사들이 멤버십 혜택을 지들 마음대로 축소하거나 없애버리고
5G 전용 폰 기기라고 하면서 5G 요금제를 거의 강제로 쓰게 했다.(게다가 요금제도 LTE 요금제보다 살짝 비쌈)
제일 빡치는 부분은 5G 속도 체감이 LTE 속도랑 별반 다르지 않았고
자주 끊겼다. (서울시 강남구 한복판에 살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그때 당시 한창 모바일 레이싱 게임에 빠져있었던 터라
인터넷이 버벅대고 끊기는 현상은 폰을 집어던져버릴 정도의 분노를 일으키게 한다.
본론으로 들어가
알뜰폰 통신사로 옮긴 결정적인 이유는
이 대기업 통신사 3사들이 이젠 아주 고객들을 대놓고 개돼지 호구 취급을 하기 시작하는 게 너무 싫어서다.
자급제 폰을 살 수 없는 사람들은 대부분 최소 2년의 약정을 걸고 구매하게 되는데
이때 요금제도 대기업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요금제를 써야 한다.
5G 요금제를 쓰다가 하향 조정 시 페널티 요금을 물게 한다는 것.
게다가 5G 폰에 LTE 요금제는 쓸 수가 없단다. (5G 기지나 제대로 구축하던가;;)
그래서 바아로~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타야겠다고 결심. 위약금을 물어도 계산해보니 오히려 더 이득을 보는 금액이었다.
알뜰폰 통신사들도 그동안 많이 생겨서 어떤 곳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던 중 친구가 추천해준 알뜰폰요금 비교 사이트에서 쉽게 여러 요금제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바로 알뜰폰 허브 라는 사이트다!
알뜰폰허브 사이트 링크 → https://www.mvnohub.kr/user/index.do
알뜰폰 Hub
알뜰폰 Hub
www.mvnohub.kr
이 사이트를 이용하는 저만의 팁은 다음 포스팅에 올릴 예정이니 구독과 댓글 부탁합니다 ^^
↓↓↓↓알뜰폰 요금제 장,단점 ↓↓↓↓
[호구 탈출기] - 알뜰폰 요금제, 1년째사용중 장,단점 (데이터 무제한 요금 1~2만원대)
알뜰폰 요금제, 1년째사용중 장,단점 (데이터 무제한 요금 1~2만원대)
● 알뜰폰? 그게뭐야? 알뜰폰 요금제? 자급제 폰에만 쓸 수 있는거 아닌가? 아니 그거 효도폰 뭐 그런거에만 쓰는거 아닌가? 네 아닙니다. 알뜰폰은 폰 이름이라기 보단, 이제는 서비스 자체를 뜻
jellypie.tistory.com
'호갱탈출 > 알뜰폰 요금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 무제한 요금제 비교 (데이터+통화+문자) (0) | 2022.01.02 |
---|---|
알뜰폰 요금제, 1년째사용중 장,단점 (데이터 무제한 요금 1~2만원대) (2) | 2021.09.01 |